루미온과 한국 자생식물: 명칭 리스트 20선

🎋 루미온에서 한국 자생식물로 조경 디자인하기

요즘 조경 디자인을 하면서 ‘우리 식물’을 활용하고 싶다는 생각, 해보신 적 있나요?
자연 그대로의 미를 살리면서도 지역성과 생태적 가치를 담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한국 자생식물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. 오늘은 루미온(Lumion) 프로그램에서 자생식물을 활용해 조경 디자인을 구현하는 방법과 식물 영어 이름 목록을 소개해 드릴게요.


🌱 왜 자생식물이 중요할까요?

자생식물은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에 잘 적응되어 있어 생육이 뛰어나고, 관리가 용이합니다.
뿐만 아니라, 지역의 생태와 문화를 반영할 수 있어 장소성을 고려한 설계에 큰 역할을 하죠.
예를 들어, 진달래나 철쭉 같은 식물은 계절의 흐름을 담고 있고, 무궁화나 소나무는 한국인의 정서와도 맞닿아 있죠.아래는 루미온 라이브러리(식물 카테고리)에서 자주 사용하는 우리나라 자생 · 자연화 수종 가운데, 모델이 존재하거나 유사 수종으로 대체해 배식할 때 참고할 만한 한·영 표기 예시 목록입니다. (학명 포함)

🎋 루미온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자생식물 리스트 20선

한국 조경 디자인에 자주 활용되는 자생식물들을 정리해봤어요. 각 식물의 한글 이름, 영문명(통용 표기), 학명, 그리고 루미온에서 검색 가능한 모델 명칭까지 포함해, 실무자나 학생 모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.

No.한글 이름영어 통용 명학명 (Latin)루미온 라이브러리 모델 예시
1소나무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Pine – Pinus_01
2잣나무Korean pinePinus koraiensisPine – Pinus_02
3전나무Manchurian firAbies holophyllaFir – Abies_01
4느티나무Japanese zelkova / ZelkovaZelkova serrataZelkova – Zelkova_01
5은행나무GinkgoGinkgo bilobaGinkgo – Ginkgo_01
6산단풍나무Korean mapleAcer pseudosieboldianumMaple – Acer_03
7당단풍나무Painted mapleAcer pictum subsp. monoMaple – Acer_02
8시무나무Amur maackiaMaackia amurensisDeciduous – GenericTree_05
9팽나무HackberryCeltis sinensisHackberry – Celtis_01
10참느릅나무ElmUlmus davidiana var. japonicaElm – Ulmus_01
11산사나무Korean hawthornCrataegus pinnatifidaHawthorn – Crataegus_01
12말채나무Red‐twig dogwoodCornus alba var. sibiricaDogwood – Cornus_02
13철쭉Royal azaleaRhododendron schlippenbachiiAzalea – Rhododendron_01
14진달래Korean azaleaRhododendron mucronulatumAzalea – Rhododendron_02
15산수국Mountain hydrangeaHydrangea serrataHydrangea – Hydrangea_01
16조팝나무Bridal wreath spireaSpiraea prunifoliaSpirea – Spiraea_01
17때죽나무Japanese snowbellStyrax japonicusStyrax – Styrax_01
18배롱나무Crape myrtleLagerstroemia indicaCrapeMyrtle – Lagerstroemia_01
19무궁화Rose of SharonHibiscus syriacusHibiscus – Hibiscus_01
20억새Eulalia / Silver grassMiscanthus sinensisGrass – Miscanthus_01

🪴 루미온에서 자생식물 검색하는 팁

  • 학명보다는 영어 통용 명칭으로 검색하면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예: “Pinus densiflora”pine, pinus, red pine 등으로 검색
  • 모델명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, 비슷한 키워드나 **분류명(Deciduous, Conifer, Grass 등)**으로 검색을 확장해보세요.

✍️ 마무리하며…

한국의 자연을 닮은 조경 디자인을 구현하고 싶다면, 자생식물을 적극 활용해보세요.
루미온은 그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확장시켜주는 훌륭한 도구입니다.
자연의 질감을 살리고, 사람과 생태가 어우러지는 디자인을 만들고 싶다면 지금 바로 우리 식물을 화면 속에 담아보세요 🌿

이처럼 루미온을 통해 자생식물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면, 설계의 현실감을 높이는 것은 물론, 지역 생태와 어우러지는 디자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. 각 식물의 특성과 생육 환경을 이해하고 모델에 적용하는 과정은 조경 설계의 깊이를 더해주며,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모두에게 친숙하고 설득력 있는 공간을 제안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 앞으로도 다양한 자생식물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정리해나가며, 더 풍부한 조경 디자인 자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.

Leave a Comment